경영참여형 펀드

경영참여형 펀드는 인수기업의 지배주주 지분을 확보하고 이사회를 장악한다. 인수 후에는 경영진을 교체하고 기업 내부정보에 접근하며 경영진의 의사결정 과정이 깊숙히 관여한다. 인수기업이 상장기업을 경우에 나머지 잔여지분을 주식 공개매수를 통해 매입하고 기업의 상장을 철회하는 경우가 많다. 비상장기업의 경우 공시의무가 대폭 완화되고 주가의 단기적 변동에 영향받지 않게 되어 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의 좀더 효율적 진행할 수 있다. 추후 기업의 구조조정이 완료되고 성과로 이어지면 재상장을 통해 투자자금을 최종 회수하게 된다.

인게이지먼트 펀드 (Engagement Fund)

기업과의 상호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저평가 기업들의 기업가치를 제고하면서 펀드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대부분의 엔게이지먼트 펀드는 기업 자문 및 컨설팅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최고 경영진과 대주주가 기업의 장기 비전을 제시하고 중장기 성장전략을 수립하고 실시하여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문하고 협력한다. 인게이지먼트 펀드는 행동주의 펀드와는 달리 경영진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최소화하고 미디어 노출을 관리하여 장기 안정적 수익률 추구한다. 기업과의 우호적 협력관계를 기본으로 하여 수익률을 추구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관철하기 위하여 이사회 자리를 강압적으로 요구하거나 법적조치등을 통해 경영진을 위협하지 않는다. 또한 장기보유전략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방안이 충분히 기업의 성장 가능성 등 펀더먼털과 기업가치에 반영될 수 있는 시간 확보하려 한다,

경영참여형, 행동주의, 인게이지먼트 펀드의 포지셔닝